구글이 우리나라의 인터넷실명제 정책에 거부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제 구글이 운영하는 UCC 동영상사이트 유튜브에 한국국적을 설정시 댓글을 달거나 동영상을 올릴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렇게까지하면서 구글이 한국의 실명제 정책에 반기를 든 행보에는 '표현의 자유'라는 원칙이 한 국가의 정부정책에 굴복할 수 없다는 강력한 의지가 깔려있습니다. 구글 부사장이 인터넷 상 표현의 자유에 대해 블로그에 글을 올렸네요.
* 유튜브 공지글
|
인터넷 상의 표현의 자유에 대해
..서두 생략..
...중 략...
...중 략...
논란이 되는 콘텐츠를 다루는 일은 기업으로서 저희가 직면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입니다. 또한 감히 모든 사안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거나 모든 정답을 가지고 있다고 호언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우선시되는 원칙들을 바탕으로 문제를 검토하고 모든 사안을 최대한 투명하게 결정하며, 정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토론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중 략...
|
========================================================================================================================
Free expression! and controversial content on the web
....
.....
So the question becomes: how do we enforce those terms? In general, Google does not want to be a gatekeeper. We don't, and can't, check content before it goes live, any more than your phone company would screen the content of your phone calls or your ISP would edit your emails. Technology can sometimes help here, but it's rarely a full answer. We also have millions of active users who are vocal when it comes to alert!ing us to content they find unacceptable or believe may breach our policies. When they do, we review it and remove it where appropriate. These are always subjective judgments and some people will inevitably disagree. But that’s because what’s acceptable to one person may be offensive to another.
.....
But it's not only legal considerations that drive our policies. One type of content, while legal everywhere, may be almost universally unacceptable in one region yet viewed as perfectly fine in another. We are passionate about our users so we try to take into account local cultures and needs -- which vary dramatically around the world --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ur global product policies.
Dealing with controversial content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we face as a company. We don’t pretend to have all the right answers or necessarily to get every judgment right. But we do try hard to think things through from first principles, to be as transparent as possible about how we make decisions, and to keep reviewing and debating our policies. After all, the right to disagree is a sign of a healthy society.
'[좌충우돌 의정활동] > 문순c네 식구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 장자연 리스트 수사관련 <조선일보>논란에 대한 인터넷기자협회 입장 (0) | 2009.04.10 |
---|---|
"검찰의 'PD수첩' 압수수색은 명백한 언론탄압" (0) | 2009.04.09 |
최문순의원, 조선일보에 명예훼손으로 신고당하다 (0) | 2009.04.09 |
"00일보, 스포츠00 하지말고 공개하라" (1) | 2009.04.08 |
'고려대는 제발 교육기관의 본분을 지켜라' (0) | 2009.04.07 |